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aeslocker 다운로드 설치, 소개 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툴은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AES라는 암호화 기술을 바탕으로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을 잠가두고, 내가 지정한 비밀번호나 키를 알고 있는 사람만 열 수 있게 만듭니다. 이름에 들어 있는 AES는 ‘Advanced Encryption Standard’의 줄임말로, 널리 알려진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AES는 미국 정부도 기밀 문서를 보호할 때 도입했던 기술입니다. 특정한 비밀번호(또는 키)가 있어야지만 원래 내용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무단 접근을 막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aeslocker는 이 기술을 편하게 쓸 수 있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AesLocker 다운로드 바로가기
AES 암호화, 어떤 용도로 사용 가능하나요?
개인정보 보호 문서나 이미지에는 내 개인 정보가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공용 장소에서 혹시 누군가 내 컴퓨터나 USB를 가져가더라도 해당 파일을 열어 볼 수 없습니다.
회사 업무나 중요한 기밀 문서 회사 프로젝트 파일처럼 중요하고 민감한 자료가 포함된 경우에도 Aeslocker 를 사용하면 아무리 파손된 하드디스크를 복구하거나 해커가 시스템에 침투해 파일을 훔쳐가도, 비밀번호를 알지 않는한 파일을 열 수 없어서 안전합니다.
공유 시 안전성 사람들끼리 파일을 주고받을 때에도 내가 원하는 사람에게만 암호를 알려주어서 해당 인원만 파일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aeslocker로 잠근 뒤에 파일을 건네면,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상대방만 복호화하여 열 수 있습니다.
aeslocker의 특징 알아보기
1) 간단한 인터페이스
컴퓨터 다루는 게 익숙하지 않아도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깔고 나면 버튼을 눌러 파일을 추가하고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파일을 드래그앤드롭해서 바로 처리하는 방식도 지원합니다.
2)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aeslocker는 윈도우, 리눅스 등 여러 OS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각각의 OS에서 동작 방식에 세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암호화와 복호화라는 핵심 기능은 비슷하게 구동됩니다.
3) 커맨드라인과 GUI 모드
마우스로 조작하는 GUI 방식이 있고, 명령어를 입력하는 CLI(커맨드라인) 방식도 지원합니다. 파일이 많을 때는 스크립트로 묶어서 자동 처리하기도 편합니다.
4) 무거운 프로그램이 아님
백그라운드에서 항상 돌아가는 형태가 아니라, 암호화할 때만 프로그램을 실행해 잠그고, 다시 복호화가 필요할 때만 실행하면 됩니다. 그래서 시스템 자원을 많이 잡아먹는 일은 드뭅니다.
aeslocker 설치 방법
다운로드 aeslocker 공식 사이트에서 내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골라 받으면 됩니다. 윈도우 환경이면 실행 파일(.exe) 형태나 .msi 파일을 제공하고, 리눅스에서는 tar.gz 압축 형식이나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한 설치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설치 윈도우 사용자는 다운받은 실행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설치 마법사가 뜹니다. “Next” 버튼을 몇 번 누르면 마무리됩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패키지 매니저를 쓰면 명령어 몇 줄로 완성되고, 직접 압축을 푸는 방식이라면 파일을 풀어서 원하는 폴더에 배치한 뒤 실행 권한만 주면 됩니다.
설정 확인 설치 후 프로그램을 켜면 기본값으로 AES 암호화 모드가 지정되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상황에 따라 키 길이(예: 128비트, 256비트)를 조절할 수 있는데, 비트 수가 클수록 보안 수준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aeslocker 사용법 정리
파일 추가 aeslocker를 실행하면 “파일 추가” 또는 “Encrypt” 같은 메뉴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암호화하고 싶은 파일들을 끌어다 놓거나 선택해주면 됩니다.
비밀번호 설정 파일을 잠그기 전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게 곧 암호화 키 역할을 합니다. 너무 짧은 숫자 조합만 쓰면 공격에 취약할 수 있으니, 영문 대소문자와 숫자, 특수문자 등을 섞어 쓰면 좋습니다.
암호화 진행 비밀번호를 정한 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암호화가 이뤄집니다. 문서나 이미지 정도라면 오래 걸리지 않고, 완료되면 원본 대신 확장자가 달라진 암호화 파일이 생성됩니다.
복호화(해제) 이미 암호화된 파일을 다시 열어보려면 aeslocker에서 복호화 기능을 써야 합니다. 이때 같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원래 파일로 돌아옵니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면 복원하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활용 팁과 주의사항
비밀번호 보관 암호화된 파일은 비밀번호 없이는 거의 해제할 수 없습니다.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혹시 까먹을까 봐 믿을 만한 곳에 백업해두면 좋습니다.
폴더 단위 처리 여러 파일을 각각 잠그기가 번거롭다면, 폴더 통째로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폴더 내 파일이 많을수록 처리 시간이 좀 더 걸립니다.
스크립트 자동화 CLI 모드로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파일을 잠그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백업과 함께 암호화를 걸어두는 식의 세팅도 할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많은 파일을 다뤄야 할 때 편리합니다.
이중 암호화 압축 프로그램으로 한 번 암호화한 뒤, aeslocker로 다시 암호를 거는 경우도 있습니다. 절대 뚫리지 않는다는 보장은 아니지만, 여러 겹으로 보호하면 상대가 접근하기 훨씬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